전기 공부 & 기록/전기기능장 공부 일기

(개인공부기록 전기기능장) 유접점 회로 문제풀기

블로그하는 봉봉 2025. 1. 27. 09:25
728x90
반응형

(개인공부기록 전기기능장) 유접점 회로 문제풀기

 

전기기능장 유접점회로문제 풀기

 

문제. 그림과 같은 유접점 회로가 의미하는 논리식은? 

 

정답 : 1번 

 


유접접 회로가 의미하는 논리식을 구하라. 

 

1. 유접점회로란? 

 
유접점 회로는 전기가 "어디서 연결되고, 어디로 흐르는지" 를 보여주는 회로입니다. 
쉽게 말하면, 불이 켜지려면 어떤 스위치를 눌러야 하는가를 알아내는 문제에요. 
 


 
2. 회로를 이해하기 
 
회로에는 3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어요 : 

  • 스위치 A,B,C,D,E,F : 스위치를 켜거나 끄는 역활
  • 직렬연결 : 스위치들이 한줄로 연결되어 있다면, 모두 켜져야 불이 켜짐.
  • 병렬연결 : 스위치들이 여러줄로 연결되어 있다면, 한 줄이라도 켜지면 불이 켜짐. 

 
3. 문제의 회로 구조 파악하기 
 
문제에 주어진 그림을 보면 : 
 

  • A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 BD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요.
  • EF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요. 

따라서, 전기가 흐르는 경로를 찾는게 핵심입니다. 
 


 
4. 논리식으로 표현하기 
 
회로의 동작을 논리식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아요. 
 

  • A : 무조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기가 흐르려면 항상 켜져야 합니다. 
  • BD (직렬) : B또는 D 둘 다 켜져야 전기가 흐릅니다. -> 논리식은 B*D
  • EF (병렬) : E또는 F 둘 중 하나만 켜져도 전기가 흐릅니다. -> 논리식은 E+F 

 


 

5. 전체 회로의 논리식 
 
모든 연결을 종합하면 : 

  • A는 켜져야 하고,
  • BD 직렬 연결이 켜져야 하고,
  • EF 병렬연결이 켜져야 합니다. 

즉, A + (B*D) + (E+F) 입니다.
 


 
6. 여기서 C,F,E의 구조 
 

  • C와 FE의 연결 : C는 FE 전체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요. 즉, C가 반드시 켜져야 FE에 전기가 흐를수 있어요. 
  • FE의 연결 : F와 E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요. 즉, F나 E중 하나만 켜져도 전기가 흐를수 있습니다. 

이걸 논리식으로 표현하면 C * ( F + E )


 
7. B 위에 있는 짝대기는? 
 
스위치 B위에 있는 짝대기 표시는 B접점(부접점)을 나타내요. 
조금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B접점(부접점) 이란?
 

  • B접점은 스위치가 꺼져있을 떄 연결되는 접점입니다. 
  • 즉 : 스위치가 꺼져있으면 전기가 통하고, 스위치가 켜지면 전기가 끊겨요.

B접점의 대표적인 특징은 스위치를 반대로 동작시키는 역활을 해요. 
 

 


8. 모든걸 종합하여 정답은? 

 
A는 홀로있고, BD는 직렬연결 되어있습니다.
B는 부접점입니다. 짝대기 그어주고,
C는 직렬 연결 후 EF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세줄은 병렬연결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은 수험생의 입장에서 전기기능장 필기 공부를 기록하는 글입니다. 
설명이 엉터리여도 브이로그나 일기처럼 기록으로 봐주세요. 
감사합니다. 
 
 
 
. (전기기능장 개인공부기록) 피타고라스의 정의란?

(전기기능장 개인공부기록) 피타고라스의 정의란?

(전기기능장 개인공부기록) 피타고라스의 정의란?  "큰 세모의 가장 긴 다리(빗변)를 알면, 나머지 두 다리(높이와 밑변)를 계산할 수 있어요!"  그림을 그려볼게요세모 모양을 그려보세요!

gekojoa.tistory.com

 
 

반응형